티스토리 뷰

반응형

영화 레디플레이어 원 포스터

미래의 메타버스를 다룬 영화 레디플레이어 원을 보며, 미래 사회에 여전한 빈부의 격차와 블록체인의 미래를 생각해 본다.

 

영화 레디플레이어 원

2018년에 스티븐 스필버그가 연출한 SF 영화이며, 어니스트 클라인의 레디플레이어 원이 원작이다. 시대적 배경은 2045년의 미래다. 사람들은 거대 가상현실 플랫폼 '오아시스'에 접속하여 생활한다. 사람들은 암울한 현실을 도피해 오아시스에서 경제, 사회, 문화생활을 영위한다. 영화 스토리의 핵심은 오아시스의 창시자인 천재 홀리데이가 오아시스 안에 숨겨둔 3개의 미션을 먼저 성공하는 사람에게 오아시스의 소유권과 막대한 유산을 상속한다는 유언이다. 그리고 그 미션들을 성공하기 위한 힌트를 80년대 대중문화 속에서 얻을 수 있다고 한다. 주인공인 소년 웨이드 와츠가 첫 번째 미션을 성공하자 이를 저지하기 위한 거대 기업이 뛰어든다. 오아시스를 지켜내기 위해선 주인공이 먼저 모든 미션을 와수 해야만 한다. 영화의 개봉 후 미국의 언론은 극찬이 쏟아져 나왔다. 80년대의 추억을 소환하는 데 성공했고, 영상미와 비주얼 역시 극찬을 받았다. 스필버그 감독의 연출적 테크닉 또한 찬사를 받은 부분이다. 음악 역시 많은 호평을 받았다. 특히 앨런 실베스트리의 음악과 80년대 명곡의 시너지 효과가 엄청나다는 평이다. 이 영화는 패러디를 적절히 활용한 재미를 주고 있다. 샤이닝, 터미네이터 패러디, 토요일 밤의 열기 등을 뻔하지 않은 방식으로 전개하면서 개연성 있게 패러디를 완성하였다. 물론, 모두가 같은 시각을 가지고 있지는 않기에 호불호가 있는 영화이다.

 

영화 속 메타버스

영화 레디플레이어 원의 주 무대는 메타버스 세상인 '오아시스'다. 사람들은 오아시스 안에서 사회, 경제, 문화의 모든 것을 경험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안에선 다른 모습으로 변신도 할 수 있어, 현실에서 이루지 못한 모습이 될 수도 있다. 필자가 영화를 보며 가장 희열 했던 부분은 바로 코인을 얻는 것과, 오아시스 안에서 그 코인을 사용해 쇼핑을 하면 현실을 집으로 제품이 배송된다는 것이다. 메타버스 세상이 그 세상을 국한된다면, 그것은 그저 가상현실일 뿐이다. 사회, 문화, 경제 생태계가 존재한다는 것은 현실의 삶과 밀접하다는 뜻이다. 메타버스 세상으로 출근을 하거나, 하고 싶은 것을 즐기거나 하지만 나, 우리는 현실에 존재한다는 사실을 잊으면 안 된다. 그러나 여기에도 빈부의 격차는 존재한다. 메타버스 안에서 조차 공장한 부의 분배가 이루어지지 않는 모습이다. 영화 속 주인공이 거대기업 'IOI'보다 먼저 숨겨진 미션을 성공하려는 이유이기도 하다. 어쩌면 레디플레이어 원에서 보여주는 일상이 바로 지금 우리들의 삶이고, 주인공이 미션을 성공하거나 아니면 'IOI'가 미션을 성공하는 두 가지 미래로 갈라지는 변곡점에 우리는 서있는 것일지도 모른다. 그리고 왜 이영화의 주인공이 특별한 힘을 가진 히어로가 아니고 어디에나 있을 법한, 우리와 같은 보통 사람인지 깊이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세상의 변곡점에서 우리는 어떤 미래를 원하는지 또한 분명히 깊이 생각해야 한다. 그리고 영화 속 주인공인 웨이드 와츠처럼 같은 생각을 가진 인류와 함께 원하는 미래를 쟁취해야 한다.

 

영화 속 블록체인의 미래

블록체인을 통해 빈부의 격차, 불공정한 부의 분배를 타파하고자 하는 이들이 있다. 이는 블록체인의 기본 이념이며 그러기 위한 기술이 블록체인이다. 지난 포스팅에서 챗 gpt의 답변으로 확인했듯이, 블록체인으로 불공정한 부의 분배를 이룰 수 있다. 하지만 영화 레디플레이어 원은 더욱 극심한 빈부의 격차를 보여주고 있다. 영화의 결말은 결국 거대 메타버스 플랫폼 '오아시스'의 소유권을 가지며 오아시스 안에서 만큼은 공정한 분배가 이루어질 것으로 보인다. 블록체인은 처음 설계한 대로 움직이며, 변경 시 모든 구성원들 혹은 대표자들의 표결이 필수이다. 하지만 이 설계나 투표 역시 사람이 하는 일이다. 영화 역시 소유권자인 사람의 결정을 중요시한다. 아마도 영화를 연출한 스필버그 감독은 시스템으로 운영되는 차가운 미래 사회에도 사람이 가장 중요하다는 메시지를 주고 싶었을지 모른다. 기술을 사용자가 좀 더 편리하도록 지속적으로 발전한다. 결국 아무런 의식을 하지 않아도, 사람을 위한 기술들이 사방에 적용되어 간다. 어쩌면, 미래의 사람들은 모두 신선처럼 삶을 영위하기만 해도 될지 모르겠다. 하지만, 그렇기 위해 우리는 우리가 원하는 블록체인의 미래를 만들어 가야 한다. 블록체인의 산물인 코인의 가격을 움직이는 세력들이 있다. 이 중 가장 큰 세력은 아마도 미국 정부보다 거대할 것이다. 그들은 바로 자본 세력이다. 영화 속 거대 기업이 주인공 보다 미션에 성공하여 오아시스의 소유권을 가지려 하는 거처럼, 이 세력들은 블록체인을 통해 공정해야 할 미래에서도 기득권이 되려 한다. 지금과 같은 아니면 영화 속 컨테이너 촌과 같은 미래를 후속들에게 물려주지 않기 위해, 우리는 우리와 같은 많은 사람들의 힘이 필요하다. 블록체인과 코인을 단순히 투기의 대상으로 생각해선 안된다. 이것은 인류에게 주어진 큰 기회이고 우리는 그 기회를 현실로 만들 수 있을지도 모를 변곡점에 서 있다. 영화에서 거대 기업 'IOI'가 먼저 미션을 성공했다면 어떻게 됐을까? 어떠면 우리의 미래에 두 눈으로 직접, 확인하게 될지도 모른다.

반응형